전체 글 (29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01.02 (화) - "제 2의 도시 이미지 브랜딩하라", 지자체 '부캐 전쟁' 요약 What -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기존 도시 이미지에 첨단농업, 의료관광, 친환경에너지 등의 신사업을 더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How - 산업도시는 관광이나 낭만 도시를 표방하고 관광도시는 첨단산업, 농업도시는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등 주 캐릭터 외에 '부캐(부캐릭터)' 키우기에 나서는 모습이다. - 경북 경주는 역사 문화관광 도시에서 과학 첨단도시로, 전통적 산업도시인 구미시는 낭만 도시로, 농업도시 나주는 첨단 농업과 에너지산업도시, 충남 아산시는 디스플레이 도시에서 의료관광 도시로 변신을 가속화 할 계획인다. Why - 지방 소멸 위기를 맞은 지자체들이 기존 도시의 강점에 새로운 산업과 문화자원을 통해 도시의 매력을 높이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2023.12.29 (금) - '신탁' 재건축 시공사 입찰때도 지자체가 공사비 사전 검증 요약 What -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시공사 선정 때 조합뿐 아니라 신탁사도 입찰공고에 앞서 서울시나 자치구의 사전검토를 받는다. - 시공사 선정 입찰 때 시나 자치구가 시공사 선정계획과 입찰공고, 총회 상정 자료 등을 의무적으로 검토한다. How - 서울시 도시정비조례 개정안이 최근 본회의를 통과했다. 지정개발자/사업대행자로 정비사업에 참여하는 신탁회사도 '공공지원 시공사 선정기준'을 적용하는 게 골자다. - 공사비 세부내역 없는 총액입찰을 허용해 시공사 선정이 쉽도록 지원하면서 공사비 검증이 가능하도록 각종 규제를 추가 했다. - 서울시는 최초 사업시행계획 인가 시점에서 공사비 검증기관에 검증요청을 의무화하도록 명시했다. 시공사가 제시하는 대안설계 범위는 정비계획으로 제한했다. - 용적률 높이 면적.. 2023.12.28 (목) - 은행들 CD발행 62조, 대출금리 상승 우려 요약 What - 4대 시중은행이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해 끌어모은 자금이 올해 들어 18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 CD 발행 물량이 계속 늘어나면서 관련 금리가 연동된 대출 금리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CD는 은행의 유동성 확보 수단 중 하나로,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해 단기 무기명 예금 증서 형태로 금융시장에서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는 상품이다. 투자자 입장에선 단기간에 정기예금 수준의 이자를 받으면서도 필요할 때 매매해 현금화할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의 CD발행이 몰려 관련 금기라 오르면 CD 금리에 연계된 은행의 대출금리도 상승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들은 기업대출과 만기 1년 미만 단기 신용대출 이자율을 산정할.. 2023.12.27 (수) - 빚 못 갚아 캠코로 간 아파트 1200가구<올1~10월> 1년 새 3배 폭증 요약 What -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고금리 영향으로 올해 들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금융권으로부터 넘겨받은 개인부실채권(NPL) 중 아파트 담보물이 12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전체 아파트 담보는 400가구) How - 캠코의 아파트 담보물은 2021년 183가구에 불과했지만, 작년 400가구에 이어 올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 캠코의 NPL 인수액도 올해 들어 10월까지 3568억원에 이르러 작년 전체 인수액(1435억원)의 배를 웃돈다. - 현재 1금융권에서 시장에 쏟아지는 NPL도 많아서 2금융권 NPL이 인기가 없다. Why - 업계에선 당분간 고금리에 따른 채권 부실화로 경매시장으로 넘어가는 NPL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고금리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내년.. 2023.12.26 (화) - 서울 재건축 단지 '종상향' 고민, 변수는 기부채납 요약 What - 최근 재건축을 추진 중인 서울 노후 단지의 '종상향'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용적률을 높여 재건축 사업성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에 종 상향을 추진하는 단지가 늘었지만 그만큼 기부채납 요구가 증가해 일부 단지에선 내부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How - 정비업계에 따르면 공공재건축을 추진 중인 서초구 신반포7차는 최근 서울시로부터 일방적으로 예정된 자문회의 상정이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종 상향에 따른 기부채납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 이 단지는 현재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분류된다. 조합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공공재건축을 통해 '준주거지역'으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Why -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공재건축을 추진하는 단지는 용도지역이 1단계 상향.. 2023.12.25 (월) 여의도,목동도 '삐끗', 신탁 재건축 '잡음' 요약 What - 신탁 방식으로 재건축,재개발을 추진하는 정비사업장에서 잡음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 전문성 있는 신탁사가 사업을 맡아 갈등을 줄이고 속도를 높이려는 당초 기대와 상반된 모습이다. * 신탁방식 장점 > 까다로운 재건축, 재개발 사업 과정에 전문성을 갖춘 신탁사가 사업시행자로 나서 갈등을 예방하고 시공사와 공사비 협상 과정에서 조합보다 협상력이 높다. > 정부 역시 신탁 방식 정비사업이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기간을 최대 3년 단축하는 방안에 이어 사업시행자 동의 요건을 주민 동의 4분의 3이상'으로 완화) How - 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여의도 1호 재건축'으로 기대를 모았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양아파트는 신탁 방식.. 2023.12.07 (목) - 재건축 '실거주 의무 폐지' 결국 국회 문턱 못 넘어서나 요약 What -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주택에 부과된 실거주 의무를 폐지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 실거주 의무 -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은 2021년 2월 문재인 정부가 도입한 제도다.현행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단지에서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은 최초 입주일로부터 2~5년 동안 실제로 살아야 한다. 시세보다 싸게 분양가가 책정된 만큼 새 아파트를 실수요자에게 공급해야 한다는 차원에서였다. How - 지난 1월 실거주 의무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한 뒤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계약이 이루어졌지만, 후속 입법이 1년 가까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시장에서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Why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6일 법안심사소위를 열었지만, 실거주 의무 폐지를 담은 주택법 개정안은 안.. 2023.12.06 (수) - 전국 아파트 매매, 8개월 만에 최저, 갭투자도 급감 요약 What -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가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집값 급반등에 대한 피로감 등이 누적되면서 주택 구매심리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어서다. How -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3만5454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2월(3만1337건) 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 서울 아파트값 반등세가 시작된 5월(4만746건)엔 4만 건을 웃돌았지만 10월 이후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 전국 아파트 매매 회전율은 3.04%로 실거래 신고가 도입된 2006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회전율이 가장 낮았던 때는 작년(2.28%)이었다. 그만큼 거래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