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 (276)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07.14 (금) - 미술품,한우 조각투자 시장 커진다 요약 What - 금융당국이 미술품과 한우 등 조각투자를 중개하는 플랫폼 업체 다섯 곳이 투자계약증권 사업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작년 말부터 막혔던 조각투자 상품 판매를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 How -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스탁키퍼, 테사, 서울 옥션블루, 투게더아트, 열매컴퍼니 등 조각투자업체 다섯 곳에 재재 면제 결정을 내렸다. - 이들 기업의 플랫폼은 대부분 투자자가 자산을 공동 구매한 뒤 업체가 자산을 재매각해 수익을 나눠 갖는 식으로 운영된다. - 당국은 각 사업자에 사업자의 도산 위험과 투자자 권리를 절연, 금융기관을 통해 투자자 예치금을 관리, 유통시장 폐쇄, 합리적 분쟁처리 절차 마련 등을 요구했다. - 신규 발행 상품에 대해선 투자자 보호장치 격으로 공동구매 누적 잔액.. 2023.07.13 (목) - 오피스텔 임대보다 짭짤하네, '年 수익 8%' 리츠의 세계 요약 What - 부동산 시장에서는 최근 임대료 수익을 배당받는 리츠(부동산투자회사)가 '투자 적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How - 작년 금리인상에 따라 리츠의 가격이 크게 떨어졌고, 위탁관리리츠가 보유한 자산의 70%가 연 2% 저금리 기간에 편입한 자산으로 수익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Why - 금리 인상이 마무리 되면 리츠가 부담하는 대출금리 하락으로 배당가능이익이 더 늘 수 있다. ※ 용어 리츠 : 투자자로부터 모은 돈으로 빌딩이나 물류센터 등 부동산을 매입,개발한 뒤 임대료와 매각 차익에서 대출금리 등을 정산하고 받아 가는 파생상품이다. 현행법상으로는 총 자산의 70%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해야 하고,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해야 한다. 순자산가치(NAV) = 리츠가 보유한 자.. 2023.07.12 (수) - 새마을금고 사태 후폭풍, 중소형 PF 사업 올스톱 위기 요약 What -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서 증권사와 함께 양대 산맥을 이루던 새마을금고가 자취를 감추면서 중소형 사업장의 PF 조달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PF 조달 규모가 크지 않고 시공사 순위도 낮은 책임준공 신탁형 사업은 사실상 중단 사태에 놓여 있다. How - 최근 성사되는 PF는 대부분 대형시공사가 이전부터 참여하고 있던 대규모 사업이다. 기존에 브리지론 단계에 있던 사업장을 본 PF로 넘겨 최대한 리스크를 줄이려 하고 있다. - PF 시장의 '큰손' 메리츠금융 그룹은 선순위 담보인정비율(LTV) 45% 이하 사업장에만 PF 대출 승인을 내주는 등 사업성이 높고 될 만한 사업장에만 대출을 승인해주고 있다. Why - 증권사들도 PF 셀다운(.. 2023.07.11 (화) - 글로벌 국부펀드 74% "하반기 채권 투자 유망" 요약 What - 전 세계 주요 국부펀드와 중앙은행들은 하반기 유망 투자 자산으로 채권과 금을 꼽았다. - 채권 중에서는 신흥권 채권과 하이일드 채권(고위험,고수익 채권)이 높은 수익을 안겨줄 것으로 전망했다. How - 미국 자산운용사 인베스코는 87개 국부펀드와 57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이들 국부펀드가 운용하는 자산은 총 21조 달러에 이른다. - 국부펀드 중 74%는 신흥국 채권과 하이일드 채권이 유망하다고 내다봤고, 신흥국 중에선 인도가 가장 유망할 것으로 평가했다. Why - 올 들어 세계 주식시장 수익률은 13%를 기록했지만, 채권은 0.4%에 그쳤다. 이 현상이 올 하반기에 역전될 것이란 관측이다.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 주식시장에서 투자금이 대거 유출돼 채권시장으로 유입될..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