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92)
2023.11.13 (월) - 집 팔아도, 시세 속여도 몰라 '정보 비대칭'이 전세사기 부추긴다 요약What - 전세사기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것은 정보 비대칭 영향이 크다. - 누구라도 전세사기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How 계약 전 압류와 대출이 없는 것을 확인했지만 입주 후 집주인이 '빌라왕'으로 바뀌고 세금 체납으로 집이 압류됐다. 공인중개사가 보여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은 신청 영수증이었고, 보증이 거부됐다. 무자본 갭투기는 매매가보다 비싼 금액에 전세 계약을 맺어 여러 주택을 매입한 뒤 모은 돈을 잠적하는 유형이다. 신축 빌라는 실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시세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악용한다. (예) 신축업자가 전체 10가구(가구당 2억원) 모두 미분양되자 보증금 2억 7000만원에 전세로 내놓았고 시세를 속이기 위해 매매가 3억원에 허위 매물을 올려놓기도 한다. 모두 전세로 계약한 뒤..
2023.11.12 (토) - 오세훈표 장기전세 '빨간불' 올 목표치 13%만 공급 요약 What - 서울에서 중산층용 임대주택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 실적이 올 들어 급감했다. - 서울시는 5년간 (2021~2026년) 7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던 계획을 수정할지 내부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 서울시는 공공기여 임대주택과 기존에 행복주택으로 공급하던 임대주택도 장기전세주택으로 짓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How - 올해 장기전세주택 공급물량(사업시행인가 기준)은 1924가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올해 목표치인 1만4666가구의 13.1% 수준이다. > 공급분 대부분은 전세형 임대주택 (713가구) > 공공전세주택(539가구) > 민간임대주택(303가구) > 가로주택정비사업(283가구) ==> 기존 주택을 매입해 공급하는 '민간주택 매입형'으로 나타났다..
2023.11.10 (금) - G밸리 남쪽 준공업지역 업무,주거 복합개발 유도 요약 What - 서울시가 구로구 디지털국가산업단지(G밸리) 남쪽 준공업지역에 업무,주거 기능을 두루 갖춘 복합개발을 유도한다. - 서울시는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금천구 가산동 237일대 '준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 How - 서울시는 구역을 주거우세지역, 산업우세지역, 중심기능 밀집지역으로 나누고 권장 용도를 다르게 지정하면서 높이를 최대 50,65m 로 차등화했다. 공개공지 조성 때 법적상한용적률인 400%를 넘어 최대 450%까지 건축물을 세울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 일반적으로 주거지에선 임대주택 공급을 늘릴수록 법적상한용적률까지 건축물을 세울 수 있다. 하지만 이곳은 준공업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해 임대주택 대신 공개공지 조성을 인센티브 조..
2023.11.09 (목) - 충북 '반도체 생태계 육성' 퀀텀점프 요약 What - 충청북도가 도내 반도체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업 투자와 전문인력 양성, 해외 기업과의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한국 반도체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How - 도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307억원을 투입하는 '반도체 부품,장비 기업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추진 342개 지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고성능 부품,장비 분야에서 융합형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제품 생산과 연계 - 기업 투자 유치도 활발하다. 최근 외국인 투자기업인 영신쿼츠와 65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반도체 제조용 석영유리를 공급한다. - 도는 충남 천안의 충남지식산업센터에 신재생에너지기술센터(가칭)를 설립하고 신재생에너지 수익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